[전기통신사업법 9월 14일 시행 구글갑질금지법 세계최초 법률 규정] 플랫폼 사업자 의무 규제 핵심 요약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기통신사업법 9월 14일 시행 구글갑질금지법 세계최초 법률 규정] 플랫폼 사업자 의무 규제 핵심 요약

MZ세대 이슈 팩트체크

by Wany(와니) 2021. 9. 19. 02:49

본문

728x90
320x100

구글이 전세계에서 인앱결제 의무화를 적용하려던 10월1일 이전에 법이 시행(9.14.)되면서 구글의 계획에 차질

개정 법안은 구글 등 앱마켓 사업자가 거래상 지위를 부당하게 이용해 앱 개발사에 특정한 결제방식을 강제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내용을 핵심

*출처 방송통신위원회

인앱결제 강제 금지 전기통신사업법 본격 시행(9.14.)

<전기통신사업법 시행 내용>

o 앱 마켓사업자의 이용자 피해 예방 및 권익 보호 의무 부과(제22조의 9 제1항)(제22조의9제1항)

o 앱 마켓 운영에 관한 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 마련(제22조의 9 제2항)(제22조의9제2항)

o 이용요금 결제, 환급에 관한 분쟁이 통신 분쟁 조정 대상에 포함(제45조의 2 제1항 제6호)(제45조의2제1항제6호)

o 특정한 결제방식을 강제하는 행위, 심사를 지연하거나 삭제하는 행위 등 앱 마켓 사업자의 금지행위 신설(제50조 제1항 제9호~11호)(제50조제1항제9호~11호)

※ 제22조의9 제1항 및 제2항은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

방송통신위원회 발표 내용

구글, 애플 등 앱 마켓사업자의 법 준수 유도하고 세계적 첫 입법 취지 실현되도록 법에서 위임한 사항과 신설된 금지행위의 집행을 위해 필요한 시행령 등 하위법령을 조속히 정비하여 차질 없이 이행할 예정

앱 마켓 사업자에게 부과된 이용자 피해예방 및 권익보호의 의무이행과 앱 마켓 운영 실태조사를 위한 시행령을 마련

신설된 금지행위에 대한 과징금 부과기준 등 시행령 필요사항과 금행위 위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심사기준도 제정

앱 마켓 사업자의 정책 변경 등에 대한 모니터링과 함께 신설된 금지행위에 맞춰 점검대상을 확대하고 점검내용을 구체화 구체화하는 등 앱 마켓 생태계 전반에 대한 실태점검 계획을 수립

앱 마켓 사업자의 구체적인 위반 행위가 인지 또는 신고될 경우 즉각적으로 사실조사 여부를 검토하여 전환할 계획

하위법령 정비와 앱 마켓 운영 실태점검 등을 위해 학계·법조계 및 연구·기술 유관기관 전문가 등으로 제도 정비반과점검 조사반을 구성(’ 21.9.9~)하여(’21.9.9~) 지원체계를 구축

점검 조사반은 앱 마켓 사업자와 앱 개발자, 크리에이터 등 이해관계자에 대한 의견수렴 창구로 적극 활용하고, 수렴된 의견은 시행령 등 제도 정비에도 반영할 예정

법 시행 직후 국내외 앱 마켓사업자들에게 법 준수를 위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과 세부 일정 등 이행계획을 제출받는 한편, 앱 개발사 등으로부터 애로사항을 듣는 자리도 마련할 예정

정책 변경을 지연하거나, 수익보전을 위해 사업모델을 변경하는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계·학계·이용자 등과 함께 필요한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

업계 반응

구글 갑질 방지법(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8월31일 국회를 통과하자 구글갑질방지법 통과를 두고 업계에서는 일제히 환영한다는 입장

네이버, 카카오 한국인터넷기업협회 : 구글 등 앱 마켓의 인앱 결제 강제를 금지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진심으로 환영

국내 스타트업계 : 인앱결제 강제를 제한하는 법안의 통과를 염원 및 환영의 뜻

미국, 유럽 등에서도 유사한 내용의 오픈 앱 마켓 관련 법이 발의되고 있는 만큼 세계적으로 앱 마켓 등 플랫폼 규제 정책 입법화 검토의 시발점이 될 듯

로이터, AP 등 세계 각국의 언론들도 한국의 '구글 갑질 방지법'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잇달아 보도

구글 : 비즈니스 모델 유지하는 방안 강구할 것

구글은 입장문 : 구글은 고품질의 운영체제와 앱 마켓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유지하면서 해당 법안을 준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향후 수 주일 내로 관련 내용을 공유할 예정

논란

결제수단 강제적용 금지는 즉 구글 인앱 결제만 쓰지 않고 제삼자가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것은 사실상 구글이 구글 플레이에서 30% 수수료 수입을 올릴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사실상 구글 플레이를 무료화 하라는 것

애플은 처음부터 인앱 결제를 강제했고 그에 따라 애플스토어와 구글 스토어 양쪽에 올려진 앱은 수수료만큼의 가격차이가 존재

애플은 처음부터 인앱결제를 강제하도록 고지

구글은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얻고 난 후 갑자기 약관을 바꾸어 수수료 걷어 들인 케이스

지금까지 전기통신사업법 9월 14일 시행 구글 갑질 금지법 세계 최초 법률 규정 플랫폼 사업자 의무 규제 핵심 요약내용을 알아봤습니다. 법 시행은 공정한 앱 마켓 생태계를 위한 출발점으로, 정부 뿐만정부뿐만 아니라 플랫폼콘텐츠 기업, 창작자, 이용자 등 생태계 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참여, 감시자 역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플랫폼 시장에 이번 제도가 안착되어 개발자창작자의 권리 보장과 이용자 권익이 신장되고, 혁신과 창의가 숨 쉬는 상생의 비즈니스 모델이 활발하게 나타나며, 궁극적으로는 공정하고 건전한 플랫폼 생태계가 구축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1.09.17 - [MZ세대 경제 재테크 공부] -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 헬스케어 3사 합병 본격 추진] 셀트리온 렉키로나주 식약처 정식 품목 허가 획득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3사 합병 본격 추진] 셀트리온 렉키로나주 식약처 정

2021.09.17. 셀트리온 발표 '렉키로나', 식약처 정식 품목허가 획득 - 국내 코로나19 항체 치료제로 최초 정식 품목허가 획득…투약 가능 대상 확대 - 정맥투여 시간 기존 대비 30분 단축…의료진 부

wanystory.tistory.com

 

320x10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